1. 터너 증후군이란?
터너 증후군(Turner Syndrome, TS)은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성염색체 수적 이상 질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X염색체 하나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결손된 45,X 핵형을 가지며,
난소 발달 부전, 저신장, 심혈관 기형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발생률: 여아 출생 2,500명당 약 1명
- 발병 원인: X염색체 결손 또는 구조 이상
2. 진단 방법
터너 증후군은 출생 전·후에 모두 진단이 가능합니다.
출생 전
- 양수천자·융모막 검사로 염색체 분석
- NIPT(비침습적 산전검사)로 조기 선별 가능
출생 후
- 저신장, 짧은 목, 날개 모양 주름 등의 외형적 특징
- 확진: 핵형 분석(Karyotyping), FISH, 마이크로어레이 검사
🔍 조기 진단의 중요성
심혈관·신장·청력·시력 문제를 빠르게 발견하면 예후가 좋아집니다.
3. 주요 증상과 합병증
터너 증후군은 전신에 다양한 영향을 줍니다.
- 성장 발달 지연: 평균 성인 키 143~147cm
- 성 발달 이상: 난소 발달 부전 → 사춘기 지연·불임
- 심혈관계: 대동맥 축착, 대동맥 확장·박리 위험
- 신장 기형: 말굽신장, 단측 신장 결손
- 청력 저하: 난청, 반복성 중이염
- 내분비: 갑상선 기능 저하, 당뇨 위험
- 기타: 골다공증, 시력 저하, 학습장애
📊 터너 증후군 증상·합병증·검사 요약표
구분 | 주요 증상 | 합병증 | 필수 검사 |
성장 발달 | 저신장 | 관절 변형 | 성장곡선·골연령 X-ray |
성 발달 | 사춘기 지연, 무월경 | 불임 | 호르몬 패널, 골밀도 검사 |
심혈관 | 대동맥 축착 | 대동맥 박리 | 심초음파·MRI |
신장 | 말굽신장 | 신부전 | 신장 초음파 |
청력 | 난청 | 사회적 발달 지연 | 청력 검사 |
내분비 | 갑상선 저하 | 심혈관 부담 ↑ | 갑상선·혈당 검사 |
4. 치료와 호르몬 요법 최적화
터너 증후군(TS)의 치료 목적은 성장 촉진, 정상적인 2차 성징 발달,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입니다. 치료는 대부분 성장호르몬(GH) 요법과 **성호르몬 대체요법(HT)**을 중심으로 장기적인 관리가 이뤄집니다.
1) 성장호르몬(GH) 요법
- 시작 시기: 가능한 한 조기, 일반적으로 4~6세 또는 진단 직후 시작
- 투여 방식: 매일 저녁 피하주사, 체중과 연령에 맞춰 0.045~0.05 mg/kg/일 용량 조절
- 효과: 평균 성인 키 5~10cm 증가, 척추측만증 악화 방지 위해 주기적 관찰
- 모니터링: 성장속도, 골연령(X-ray), 혈당·IGF-1 수치 3~6개월마다 평가
- 병용 요법: 일부 환자에서 옥사놀론(oxandrolone) 소량 병용 시 키 향상 효과 보고(부작용 주의)
2) 성호르몬 대체요법(HT)
- 시작 시기: 11~12세 전후, 성장판 폐쇄와 심리사회적 발달 시기 고려
- 초기 용량: 경피 패치(0.025 mg/week) 또는 경구제(0.25 mg/day)로 시작, 6~12개월 간격 증량
- 목표: 2~3년 내 정상 성인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치 도달
- 프로게스테론 병행: 에스트로겐 투여 1~2년 후 자궁 내막 보호 목적
- 모니터링: 골밀도, 간 기능, 혈전 위험 인자, 대동맥 직경 정기 검사
3) 심혈관 관리
- 위험 요인: 대동맥 축착, 이엽성 대동맥판, 대동맥 확장·박리
- 관리 전략:
- 고혈압 조절: 베타차단제·ARB
- 대동맥 직경이 BSA 대비 2.5cm 이상이거나 급격 확장 시 수술 고려
- 심초음파·MRI 연 1회 이상 시행
4) 난임 치료
- 대부분 자연임신 불가 → 난자 공여 IVF가 유일
- 임신 전 심혈관 상태 평가 필수
- 임신 중 고위험군 관리 체계 적용
5) 맞춤형 치료 최적화
- GH와 HT 병행 시 성장판이 닫히기 전까지 GH 유지
- 호르몬 과투여는 혈전·간 기능 저하·심혈관 부담 초래 가능
- 치료는 환자의 핵형, 합병증 여부, 성장 속도, 심혈관 상태에 맞춰 개별 조정
5. 식단·영양제 관리
- 칼슘·비타민 D: 골다공증 예방
- 단백질: 근육·결합조직 유지
- 오메가-3: 심혈관 건강
- 저나트륨: 심장 부담 완화
- 식이섬유: 혈당 안정
- 철분: 월경 이후 빈혈 예방
💡 영양제 복용 전 갑상선·간 건강을 확인하세요.
6. 생활 관리 팁
- 운동: 저·중강도(수영, 필라테스, 걷기)
- 정기검진: 심혈관 MRI, 청력·시력, 갑상선·혈당, 골밀도
- 심리 지원: 학습장애·사회불안 상담
- 임신 계획 시 철저한 심혈관 검사 필수
'희귀질환 증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드레노백백병(Adrenoleukodystrophy, ALD) – 정의, 진단, 증상, 치료와 뇌보호 연구 (1) | 2025.08.13 |
---|---|
피터스 기형(Peters Anomaly) – 정의, 증상, 치료와 생활 관리 (2) | 2025.08.13 |
윌리엄스 증후군(Williams Syndrome) – 정의부터 치료·생활관리·사회성 연구까지 (1) | 2025.08.13 |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 – 정의부터 치료·생활관리까지 완벽 가이드 (4) | 2025.08.12 |
마르판 증후군(Marfan Syndrome) (0) | 2025.08.12 |
재생불량성 빈혈: 정의, 치료방법, 식단·영양제 가이드, 조혈줄기세포 이식 성과 (5) | 2025.08.12 |
선천성 무감각성 무한증(CIPA)과 통증 신호 전달 연구 (4) | 2025.08.12 |
파브리병( Fabry disease ) (3)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