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질환 증후군

아드레노백백병(Adrenoleukodystrophy, ALD) – 정의, 진단, 증상, 치료와 뇌보호 연구

1. 아드레노백백병의 정의와 원인

아드레노백백병(Adrenoleukodystrophy, ALD)은 X 염색체에 위치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희귀 유전성 대사질환입니다. 이 유전자는 **페록시좀(peroxisome)**이라는 세포 내 소기관에서 **초장쇄지방산(VLCFA, Very Long Chain Fatty Acids)**을 분해하는 단백질을 만들지만, 변이가 생기면 이 기능이 망가집니다.
그 결과 **뇌의 백질(white matter)**과 부신(adrenal gland), **척수(spinal cord)**에 초장쇄지방산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신경세포 손상과 호르몬 이상을 일으킵니다. 남성에서 주로 심각하게 나타나며, 여성 보인자(carrier)는 나이가 들수록 척수신경병증 형태로 증상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ALD는 형태에 따라 소아뇌형(childhood cerebral ALD), 아드레노미엘로뉴로병증(Adrenomyeloneuropathy, AMN), **부신기능부전형(Addison-only)**으로 구분됩니다.

아드레노백백병(Adrenoleukodystrophy, ALD) – 정의, 진단, 증상, 치료와 뇌보호 연구

 

2. 진단 방법과 검사

ALD는 조기 진단이 예후를 결정합니다. 진단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혈액 검사: 혈중 초장쇄지방산 농도를 측정(VLCFA 상승 확인)
  • 유전자 검사: ABCD1 변이 여부 확인, 가족 내 보인자 검색
  • MRI 검사: 뇌 백질의 탈수초(demyelination) 패턴 확인
  • 부신 기능 검사: 코르티솔·ACTH 수치 측정해 부신기능저하증 평가
  • 신생아 선별검사: 일부 국가에서는 출생 직후 혈액으로 ALD 스크리닝을 시행해 조기 발견
    MRI에서 소아뇌형 ALD는 주로 **후두부(occipital lobe)와 두정엽(parietal lobe)**에서 대칭성 탈수초 소견이 나타나며, 조기 발견 시 치료 성과가 크게 향상됩니다.

 

3. 주요 증상과 진행 양상

증상은 ALD 유형과 발병 시기에 따라 다릅니다.

  • 소아뇌형 ALD: 주로 4~10세 사이에 발병, 학습·언어 능력 저하 → 시각·청각 장애 → 운동 실조 → 경련과 삼킴 장애로 진행
  • 아드레노미엘로뉴로병증(AMN): 20~40대에 주로 발병, 하반신 근육 경직·약화, 배뇨 장애, 감각 이상
  • 부신기능부전형(Addison-only): 부신 호르몬 부족으로 인한 만성 피로, 체중 감소, 저혈압, 피부 색소 침착
    공통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진행성 뇌 손상과 심각한 장애,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4. 치료 방법과 관리 전략

ALD의 치료는 유형과 진행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 조혈모세포이식(HSCT): 뇌병변이 초기일 때 시행하면 질병 진행을 멈추거나 늦출 수 있음. 발병 후 진행이 심한 경우 효과 제한적
  • 유전자 치료: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해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에 정상 ABCD1 유전자를 주입하는 방식(예: 엘리베르트, Skysona)
  • 부신기능저하증 치료: 하이드로코르티손, 플루드로코르티손 등 호르몬 보충
  • 대증 치료: 경련, 경직, 삼킴 장애 등에 대한 약물 및 물리치료
  • 로렌조 오일(Lorenzo’s oil):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와 트리에루시네이트 혼합 오일로 식이 중 VLCFA 농도를 낮추지만, 발병 억제 효과는 제한적
    치료 성과를 높이려면 MRI·혈액검사를 통한 정기 추적 관찰이 필수입니다.

 

5. 생활습관·식단·영양제

ALD 환자와 보인자는 식이 관리와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 저 VLCFA 식단: 유제품, 기름진 육류, 일부 견과류(마카다미아, 헤이즐넛) 제한
  • 항산화 영양소: 비타민 E, 비타민 C, 셀레늄을 충분히 섭취해 신경세포 손상 억제
  • 오메가-3 지방산: DHA·EPA를 통해 뇌세포막 안정화
  • 적정 체중 유지: 과체중·영양 불균형은 질환 진행에 악영향
  • 규칙적 운동: 근육 위축 방지(단, 과격한 운동은 피함)
  • 스트레스 관리: 부신 기능이 약한 환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급성 부신 위기 위험
    모든 영양제와 보충제는 주치의와 상의 후 복용해야 하며, 무분별한 고용량 섭취는 피합니다.

 

6.  뇌보호 연구와 미래 전망

최근 ALD 연구는 뇌 백질을 보호하고 질병 진행을 늦추는 방법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 신경 보호 약물: 미토콘드리아 기능 강화제, 항산화제, 항염증 약물 후보물질 개발
  • 세포치료: 조혈모세포 외에 신경전구세포 이식을 통한 재수초화(remyelination) 가능성 연구
  • 유전자 교정 기술: CRISPR/Cas9 기반 ABCD1 변이 교정 연구
  • MRI 기반 조기 예측 모델: 병변이 나타나기 전 변화를 감지해 조기 개입 가능성 확대
    임상 단계에서는 유전자 치료제가 가장 앞서 있으며, 성공 시 ALD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 그리고 맞춤형 생활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율을 결정합니다.

핵심 요약 표

구분 주요 내용 관리 방법
원인 ABCD1 변이, VLCFA 축적 유전자 검사, 가족 스크리닝
진단 혈액 VLCFA, 유전자 검사, MRI 조기 발견, 정기 추적
증상 소아뇌형, AMN, Addison-only 유형별 맞춤 치료
치료 HSCT, 유전자 치료, 호르몬 보충 초기 개입이 핵심
식단 저 VLCFA, 항산화 영양소, 오메가-3 의사 상담 후 보충제 복용
연구 신경 보호, 세포치료, 유전자 교정 임상·전임상 연구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