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질환 증후군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 정의, 진단, 치료와 최신 신약 동향

1. 쿠싱 증후군의 정의와 원인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은 혈중 코르티솔(cortisol) 농도가 장기간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코르티솔은 부신(adrenal gland)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스트레스 반응·혈압 유지·혈당 조절·면역 억제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눕니다.

  • 내인성(Endogenous): 뇌하수체 종양에 의해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이 과다 분비되는 쿠싱병(Cushing’s Disease), 부신 종양, 또는 폐·췌장 종양에서 ACTH를 생성하는 경우
  • 외인성(Exogenous): 류머티즘·천식·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해 장기간 고용량 스테로이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코르티솔 과다 상태가 지속되면 전신 대사와 장기 기능에 심각한 변화를 유발합니다.

 

2. 진단 방법과 검사

쿠싱 증후군은 증상이 다른 질환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야간 저용량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LDDST): 덱사메타손 복용 후 혈중 코르티솔 억제 여부 확인
  • 24시간 소변 유리 코르티솔 검사(24h UFC): 하루 동안 배출된 코르티솔 총량 측정
  • 자정 혈중·침샘 코르티솔 검사: 정상보다 높으면 진단에 도움
  • ACTH 측정: ACTH 의존성 여부 구분
  • 영상 검사: 뇌하수체 MRI, 부신 CT/MRI, 흉부 CT로 종양 위치 확인
    정확한 원인 파악이 치료 방향을 결정하므로, 호르몬 검사와 영상 검사를 병행합니다.

 

3. 주요 증상과 질환 진행

쿠싱 증후군은 코르티솔 과다에 따른 대사 이상과 전신 증상을 유발합니다.

  • 외모 변화: 달덩이 얼굴(moon face), 중심성 비만, 목덜미 지방(물소혹)
  • 피부 변화: 얇아진 피부, 쉽게 멍, 자주색 피부선(striae)
  • 근육·뼈: 사지 근육 위축, 골다공증, 골절 위험 증가
  • 대사: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 면역·정신: 면역력 저하, 반복 감염, 우울·불안, 기억력 저하
    치료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 감염, 뇌졸중 위험이 크게 증가해 생명을 위협합니다.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 정의, 진단, 치료와 최신 신약 동향

4. 치료 방법과 관리 전략

치료는 원인 제거와 코르티솔 정상화가 목표입니다.

  • 수술: 뇌하수체 종양(경접형동 접근법), 부신 종양(복강경 부신절제술), ACTH 생성 이소성 종양 제거
  • 약물치료: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메티라폰(Metyrapone), 미토탄(Mitotane), 에트로미페이트(Etomidate)로 코르티솔 합성 억제
  • 방사선 치료: 수술 불가 뇌하수체 종양에 감마나이프, 선형가속기 사용
  • 대증치료: 고혈압·당뇨 조절, 골다공증 예방 약물
    수술 후 일시적으로 코르티솔 결핍이 올 수 있어 하이드로코르티손 보충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생활습관·식단·영양제

쿠싱 증후군 환자는 치료와 함께 생활 관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 저염식: 코르티솔 과다로 인한 수분 저류·고혈압 완화
  • 혈당 조절식: 당지수(GI) 낮은 식품, 복합 탄수화물 섭취
  • 단백질 보충: 근육 위축·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살코기·콩류 섭취
  • 칼슘·비타민 D: 뼈 건강 유지(우유·멸치·시금치 등)
  • 항산화 영양소: 비타민 C·E, 오메가-3 지방산으로 염증 억제
  • 규칙적 운동: 걷기·수영 등 저충격 유산소 운동
    모든 보충제와 영양제는 의사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신약 개발 동향과 미래 치료

최근 쿠싱 증후군 신약 연구는 코르티솔 생성 억제ACTH 신호 차단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파시레오타이드(Pasireotide): 뇌하수체 종양의 ACTH 분비 억제
  • 오실로덱사메타손(Osilodrostat): 11β-하이드록실라제 억제로 코르티솔 합성 차단, 2020년 FDA 승인
  • 레보키소리드(Levoketoconazole): 기존 케토코나졸보다 간독성 낮추고 효율 개선
  • CRH 수용체 길항제: ACTH 분비 차단 기전 연구 중
    또한 유전자 치료와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PROTAC)을 이용해 원인 종양을 억제하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조기 진단과 맞춤 치료제가 결합되면 향후 환자 생존율과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핵심 요약 표

구분 주요 내용 관리 방법
원인 코르티솔 과다(내인성·외인성) 원인별 맞춤 치료
진단 호르몬 억제·측정 검사, 영상검사 조기 진단 필수
증상 달덩이 얼굴, 중심성 비만, 고혈압, 당뇨 치료 지연 시 합병증 증가
치료 수술, 약물, 방사선, 대증요법 수술 후 호르몬 보충
생활 저염·저GI 식단, 단백질·칼슘 보충 규칙적 운동, 의사 상담
연구 ACTH 억제제, 코르티솔 합성 억제제 표적·유전자 치료 개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