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질환 증후군

악성 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 : 원인·진단·치료·생활관리·조기 발견 최신 정보

1. 악성 중피종의 정의와 원인

악성 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은 주로 폐를 둘러싸는 흉막, 드물게 복막·심막·고환막에 발생하는 드문 악성 종양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석면(Asbestos) 노출로, 노출 후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석면 섬유가 호흡기를 통해 폐와 흉막에 침착되면, 만성 염증과 세포 손상을 유발해 DNA 변이를 촉진하고 암세포 성장을 유도합니다.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나, 특정 종양 억제 유전자(BAP1) 변이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악성 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 : 원인·진단·치료·생활관리·조기 발견 최신 정보

2. 악성 중피종의 진단 과정

진단은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조기 발견이 어렵습니다. 흉부 X-rayCT를 통해 흉막 비후, 흉수(pleural effusion) 여부를 확인하고, MRI로 종양의 침윤 범위를 평가합니다. 확진은 **흉막 생검(Thoracoscopy)**이나 **세침흡인검사(FNA)**로 조직을 확보하여 병리검사를 진행합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Calretinin, WT-1, CK5/6 양성이 중피종 진단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액체생검(liquid biopsy) 기술이 발전하여 혈액 속 종양 DNA나 단백질을 분석해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3. 주요 증상과 임상 경과

초기에는 가벼운 호흡 곤란, 기침, 흉통이 나타나지만, 질병이 진행되면 흉수가 많아져 호흡곤란이 심해집니다. 일부 환자는 체중 감소, 발열, 피로감, 어깨나 팔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복막 중피종은 복부 팽만, 소화불량, 복통, 변비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질환은 대체로 서서히 진행되지만, 진단 시점에 이미 국소 침윤이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불량합니다.

 

4. 악성 중피종의 치료 전략

치료는 병기, 환자 전신 상태, 종양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 수술: 초기 국한성 병기에서 **흉막박리술(P/D)**이나 **흉막폐절제술(EPP)**을 시행합니다.
  • 항암화학요법: 시스플라틴+페메트렉시드 병용이 표준 1차 치료입니다.
  • 방사선치료: 수술 후 국소 재발 예방, 통증 완화 목적.
  • 면역항암제: PD-1 억제제(니볼루맙)·CTLA-4 억제제(이필리무맙) 병용이 일부 환자에서 생존 연장 효과를 보였습니다.
    다학제 진료를 통해 수술·항암·방사선·면역치료를 병합하는 다중 치료 전략이 권장됩니다.

 

5. 생활습관 관리, 식단, 영양제

악성 중피종 환자는 폐 기능 저하와 전신 피로를 겪기 쉽기 때문에, 저염·저가공식 위주의 항염증 식단이 권장됩니다.

  • 권장 식품: 등푸른 생선(오메가-3), 녹황색 채소, 토마토(라이코펜), 견과류, 올리브유.
  • 피해야 할 식품: 가공육, 고당·고지방 식품, 인스턴트 음식.
  • 영양제: 비타민 D, 오메가-3, 셀레늄, 코엔자임Q10은 항염 및 면역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복용 전 반드시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또한 심폐 재활 운동(저강도 유산소, 호흡근 강화 운동)과 규칙적인 수면, 금연이 필수적입니다.

 

6. 조기 발견을 위한 최신 기술

조기 발견은 생존율을 높이는 핵심입니다. 최근에는 저선량 CT(LDCT) 스크리닝이 석면 고위험군에서 폐암과 함께 중피종 조기 발견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혈중 메솔로텔린(Mesothelin)·Fibulin-3 수치 측정, 순환 종양 DNA(ctDNA) 분석 같은 액체생검 기술이 연구 중이며, BAP1 유전자 변이 검출을 통한 고위험군 선별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인공지능 기반 영상 판독과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이 조기 진단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악성 중피종 요약 표

구분 내용
정의 주로 흉막에 발생하는 석면 관련 악성 종양
주요 원인 석면 노출(잠복기 20~50년), BAP1 유전자 변이
주요 증상 호흡 곤란, 흉통, 기침, 체중 감소, 복부 팽만
진단 방법 영상검사(CT, MRI), 흉막 생검, 면역조직화학 염색, 액체생검
치료법 수술(P/D, EPP), 항암화학요법(시스플라틴+페메트렉시드), 방사선, 면역항암제
생활습관 관리 항염 식단, 심폐 재활 운동, 금연, 규칙적 수면
영양제 비타민 D, 오메가-3, 셀레늄, 코엔자임Q10 (의사 상담 후)
조기 발견 기술 저선량 CT, 혈중 마커 측정, 액체생검, AI 영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