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NS의 개요와 발병 원인
리시안스증(Lesch–Nyhan Syndrome, LNS)은 HPRT1(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1) 유전자의 결손이나 기능 상실로 인해 발생하는 X-연관 열성 유전 질환이다. HPRT1 효소는 퓨린(purine) 대사에서 핵산 구성 요소를 재활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 효소가 결핍되면 하이폭산틴과 구아닌이 요산으로 과잉 전환되어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이 발생한다. 이는 통풍성 관절염, 신장 결석, 신부전 등의 대사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LNS의 특징은 단순한 대사 이상을 넘어 중추신경계 손상과 행동장애가 동반된다는 점이다. 발병은 주로 남아에서 나타나며, 생후 수개월 내 근긴장 저하와 발달 지연이 관찰되고, 이후 근육 경직, 불수의 운동, 심각한 자해 및 공격 행동이 진행된다.
2. LNS 환자의 행동장애 특성
LNS의 행동장애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자해 행동(self-injurious behavior)**이다. 환자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입술, 혀, 손가락 등을 무는 등의 심각한 상처를 유발하며, 머리를 반복적으로 부딪히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은 고통을 회피하려는 일반적인 본능을 넘어, 강박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양상을 보인다. 자해 외에도 공격성, 충동적 언행, 타인에 대한 신체적 위협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사회적·교육적 환경 적응을 어렵게 만든다. 행동장애는 환자 자신뿐 아니라 가족과 보호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며, 치료와 관리의 핵심 과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LNS는 신경정신의학적 접근이 필수적인 복합질환으로 간주된다.
3. 행동장애와 도파민 신경회로 이상
뇌 영상 연구(MRI, PET, fMRI)에 따르면, LNS 환자에서는 기저핵(basal ganglia), 특히 선조체(striatum) 내 도파민 신경 전달이 현저히 감소한다. 도파민 부족은 운동 조절뿐 아니라 보상·동기·충동 억제 기능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전두엽과 기저핵을 연결하는 회로의 손상은 계획 능력과 자기 통제력을 저하시켜 자해 및 공격 행동을 악화시킨다. 뇌척수액 검사에서는 도파민 대사산물인 HVA(homovanillic acid) 수치가 낮게 측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도파민 신경계의 기능 저하를 뒷받침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세로토닌, GABA 등의 신경전달물질 불균형도 보고되어, LNS의 행동장애가 다중 신경화학적 이상에서 비롯된 가능성을 시사한다.
4. 행동장애 관리와 치료 연구 동향
현재 LNS의 행동장애에 대한 근본 치료법은 없으며, 대증적 관리가 중심이다. 자해 방지를 위해 마우스가드, 손 보호 장치 등 물리적 보호를 적용하고, 환경 조절을 통해 위험 요인을 줄인다. 약물치료로는 벤조디아제핀계 진정제, 바클로펜(근육 경직 완화), 항정신병약물, 도파민 조절 약물이 활용된다. 심리사회적 중재와 행동치료는 환자의 충동 조절 및 대인관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최신 연구에서는 유전자 치료와 효소 대체 요법이 전임상 단계에서 진행 중이며, 뇌심부자극술(DBS)과 같은 신경조절 기술이 자해 행동 완화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치료 전략은 대사 조절과 함께 도파민 신경회로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는 통합적 접근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LNS 환자의 행동장애 요약
행동장애 유형 | 주요 특징 | 관련 신경기전 |
자해 행동 | 입술·손가락 무는 습관, 머리 부딪힘 | 도파민 부족, 전두엽-기저핵 회로 이상 |
공격성 | 타인 위협, 폭력적 언행 | 충동 억제 저하, 보상회로 과활성 |
충동성 | 계획성 부족, 즉흥적 행동 | 전전두피질 기능 저하 |
언어적 폭력 | 반복적 비난·폭언 | 감정 조절 회로 이상 |
반복 행동 | 강박적 움직임·행동 패턴 | 기저핵 및 소뇌 연결성 이상 |
'희귀질환 증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천성 무감각성 무한증(CIPA)과 통증 신호 전달 연구 (4) | 2025.08.12 |
---|---|
파브리병( Fabry disease ) (3) | 2025.08.12 |
혈우병(Hemophilia) – 원인, 증상, 최신 치료 동향 (1) | 2025.08.12 |
고셔병(Gaucher Disease)과 치료·효소 대체 요법 (6) | 2025.08.11 |
클라인-레빈 증후군(KLS)의 원인 (5) | 2025.08.11 |
프라더-윌리 증후군(PWS) 환자의 뇌 기능 연구 (1) | 2025.08.11 |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의 발병 기전, 치료 연구, 신약 임상 현황 (3) | 2025.08.11 |
루게릭병(ALS)의 최신 유전자 치료 연구 (5)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