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질환 증후군

혈우병(Hemophilia) – 원인, 증상, 최신 치료 동향

1. 혈우병의 원인과 유형

혈우병은 혈액 응고에 필요한 특정 응고인자 결핍으로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이다.
대부분 X염색체 열성 유전 방식으로 전해지며, 남성에서 주로 발병한다.

  • 혈우병 A: 제8응고인자(Factor VIII) 결핍
  • 혈우병 B: 제9응고인자(Factor IX) 결핍
  • 혈우병 C: 드물며, 제11응고인자 결핍(주로 상염색체 열성)

유전자 결함으로 인한 응고인자 생산 저하 또는 기능 이상은 혈액의 응고 지연을 초래하고, 그 결과 외상 후 또는 자발적인 출혈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혈우병(Hemophilia) – 원인, 증상, 최신 치료 동향

2. 혈우병의 증상과 합병증

혈우병의 주요 특징은 **출혈 경향(Bleeding tendency)**이며, 응고인자 활성도에 따라 경증·중등도·중증으로 나뉜다. **중증형(활성도 <1%)**은 외상 없이도 심부 출혈이 자주 발생한다.

  • 관절 출혈(Hemarthrosis)
    무릎·발목·팔꿈치에 잦으며 부종·열감·통증을 유발. 반복 시 활막 비후, 연골 손상, 골변형 → 혈우병성 관절병증으로 진행.
  • 근육 및 연부 조직 출혈
    대퇴사두근, 장요근 등 대근육에서 빈번. 심하면 구획증후군 발생 가능.
  • 심부 출혈
    두개내, 후복막, 복강내 출혈은 응급 상황. 경미한 외상 후에도 발생 가능.
  • 점막 출혈
    잇몸·코·구강·위장관에서 발생. 치과 치료 후 지혈 지연이 흔함.

합병증

  1. 혈우병성 관절병증 – 만성 통증·관절 변형
  2. 항체(억제인자) 형성 – 응고인자 치료 효과 저하
  3. 감염 합병증 – 과거 혈장유래 제제 시 문제였으나 현재는 감소
  4. 심리적 문제 – 만성 질환 부담으로 우울·불안 동반 가능

 

3. 최신 치료제와 유전자 치료 연구 동향

현대 혈우병 치료는 크게 응고인자 대체요법유전자 치료로 나뉜다.

  • 응고인자 대체요법
    부족한 응고인자를 정맥 주사로 보충. 재조합 기술 발전으로 감염 위험 크게 감소.
    지속형 응고인자가 개발되어 투여 간격을 연장 가능.
  • 비응고인자 기반 치료제
    예: 에미시주맙(Emicizumab) – 항체를 이용해 IXa·X를 직접 연결, 주사 횟수 감소.
  • 유전자 치료
    AAV 벡터를 이용해 간세포에 정상 응고인자 유전자를 전달.
    임상시험에서 혈우병 A는 FVIII 발현이 수년간 유지되고, B는 FIX 발현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됨.

 

4. 치료제·유전자 치료 비교 표

 

치료 방법 대상 유형 작용 기전 투여 방식 장점 한계
응고인자 대체요법 A/B 결핍 인자 직접 공급 정맥 주사 즉각 지혈, 안전성 확보 평생 반복 투여 필요
지속형 응고인자 A/B 변형 단백질로 반감기 연장 1~2주 간격 주사 주사 횟수 감소 고비용
비응고인자 치료제 A IXa·X 직접 연결 피하 주사 억제인자 환자 치료 가능 일부 환자만 적합
유전자 치료(AAV) A/B 간세포에 정상 유전자 삽입 단회 정맥 주사 장기간 발현, 치료 지속 면역반응·재투여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