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0)
드라쿤쿨루스증(Guinea Worm Disease) 근절 현황: 2024 최종 15건, 동물감염 664건의 의미 드라쿤쿨루스증(Guinea Worm Disease, GWD)은 치료제·백신 없이도 수자원 위생, 여과, 행동 변화만으로 급감한 대표적 피복지 기생충 질환이다. 1986년 약 350만 건에서 출발한 세계적 근절 캠페인은 국가·지역·촌락 단위의 감시와 보상제, 유충 구제(라르비사이드), 안전 식수 보급, 환자 격리관리의 결합으로 사례를 99.99% 이상 낮췄다. 현재 인체 사례는 ‘한 자릿수 국가’에서만 산발적이며, 동물 감염(특히 차드의 개) 관리가 성패를 좌우한다. 다음 단락에서 2024–2025 최신 수치와 국가별 흐름을 먼저 살핀다. 글로벌 진행 현황(2024–2025 최신)2024년 전 세계 인체 사례는 최종 15건으로 확정되었다. 분포는 차드 9건·남수단 6건이며, 앙골라·카메룬·에티오피아·말리는..
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동물 전파 경로: 설치류 숙주와 예외적 사람 간 전파까지 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신증후군출혈열(HFRS)과 한타바이러스 폐증후군(HPS, 또는 HCPS)을 일으키는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바이러스는 특정 설치류 집단에 무증상으로 지속 감염되며, 사람은 이들 설치류의 배설물·타액·소변으로 오염된 환경을 통해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유럽·아시아의 다수 한타바이러스는 사람 간 전파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남미에서 보고된 Andes orthohantavirus는 가족·밀접 접촉에서 사람 간 전파 사례가 누적되어 예외로 다룬다. 이 글은 ‘동물→사람’ 전파의 실제 경로와 위험 상황, 예외적 ‘사람→사람’ 전파, 그리고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차단 원칙을 연결해 정리한다. 다음 단락에서는 먼저 설치류 숙주와 바이러스의 짝관계를 살펴본다. 주요 동물 숙주와 보유 양상한타바이..
리프트밸리열(Rift Valley fever)과 기후변화: 엘니뇨·홍수·벡터가 만드는 위험 지형 리프트밸리열(RVF)은 동물과 사람 모두에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주로 모기 매개와 감염 가축 체액·조직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이 질병은 원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보고가 많았고 2000년에는 아라비아반도까지 확산된 바 있으며, 증상은 무증상 또는 발열성 증후군부터 드물게 출혈열·망막염·뇌염 등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기후변화가 심화되면서 강우의 시공간 분포가 바뀌고 극한 홍수·침수가 잦아지는 가운데, 모기 서식 환경의 급격한 확장과 산란지의 대규모 형성이 발생 위험을 키우는 주요 경로로 지목된다. 다음 단락에서는 엘니뇨–강우–홍수라는 기후 신호가 어떻게 지역 사회의 감염 위험을 증폭시키는지부터 살펴본다. 기후변화·엘니뇨와 강우–홍수 패턴의 연결고리동아프리카에서 리프트밸리열 대유행은 ..
탄저병 인체 감염: 사례 분석·원인·진단·치료 가이드 2025 탄저병은 Bacillus anthracis 포자가 동물·환경에서 사람으로 유입될 때 발생하며, 사람 간 전파는 보고되지 않았다. 임상형은 피부형·흡입형·위장관형·주사용형으로 나뉘고, 확진은 균·독소를 검출하는 검사로 이뤄진다. 치료는 신속한 항생제와 중증 시 항독소 병용, 노출자에 대한 60일 항생제 기반 예방요법과 백신 병합이 핵심이다. 인체 감염 사례 분석·유형인체 탄저병은 지역 풍토성 노출, 오염 동물성 제품 취급, 드물게 생물테러 또는 약물 주사와 연관된 집단발생까지 스펙트럼이 넓다. 2001년 미국의 분말 우편물 사건에서는 흡입형 11건·치명 5건이 확인되어 중증도와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 사건 이후 흡입형에 대한 중환자 치료·항생제 병합 전략이 정교해졌다. 2009–2013년 유럽에서..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과 프리온 단백질 연구: 원인·진단·최신 치료·관리·영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프리온 단백질의 잘못 접힘이 연쇄적으로 번지며 급속 진행성 치매와 운동실조를 일으키는 희귀 신경퇴행 질환이다. 확진은 병리학적 검사이지만 임상에서는 RT-QuIC과 MRI 확산강조영상을 조합해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한다. 현재 병의 경과를 바꾸는 확립된 치료는 없고, 항-PrP 항체와 안티센스 등 정밀의학 연구가 진행 중이며 감염관리와 증상 완화, 영양·돌봄 체계가 핵심이다.1. CJD 개요·역학CJD는 세포막 단백질인 PrP가 병적 형태로 잘못 접히며 다른 PrP까지 오접힘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간 프리온병이다. 전 세계 발생은 인구 백만 명당 매년 1–2명 정도로 매우 드물고 평균 생존 기간은 수개월에 불과해 조기 진단과 돌봄 계획 수립이 예후를 좌우한다. 유형은 ..
혈관육종의 발생 원인과 최신치료 2025 1. 혈관육종 발생 원인혈관육종은 혈관 또는 림프관 내피 세포에서 기원하는 희귀하고 공격적인 암으로, 종종 두경부 피부에 발생하지만 간·유방 등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려진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과거 방사선 치료를 받은 병력 림프절 제거나 감염으로 인한 림프부종으로 인한 림프계 손상비소 또는 염화비닐과 같은 화학물질 노출 일부 유전적 돌연변이 (BRCA1/BRCA2 등)도 위험을 높일 수 있음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습니다. 2. 진단초기 평가는 신체검사, 영상검사(MRI, CT, PET 등)를 통한 종양의 위치·크기 확인 및 전이 여부 평가입니다.확진은 생검을 통한 조직검사로 이루어집니다.3. 최신 치료 (2024–2025 기준)표준 치료법:수술: 가능한 경우 종양..
에윙 육종(Ewing Sarcoma) – 원인·증상부터 최신 표적치료 연구까지 1. 에윙 육종의 정의와 발생 원인에윙 육종(Ewing Sarcoma)은 주로 골격계와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희귀 악성 종양으로, 소아와 청소년(10~20세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발생 부위는 긴 뼈(대퇴골, 경골, 상완골)나 골반, 늑골, 척추 등이며, 종양은 뼈와 인접 연부 조직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주된 원인은 **염색체 전좌(Chromosomal translocation)**로, 특히 EWSR1-FLI1 융합 유전자가 전체 환자의 약 85%에서 발견됩니다. 이 전위는 종양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비정상적으로 촉진하며, 발병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석면이나 방사선 노출 같은 환경 요인보다는 유전자 이상이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에윙 육종의 진단 과정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
악성 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 : 원인·진단·치료·생활관리·조기 발견 최신 정보 1. 악성 중피종의 정의와 원인악성 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은 주로 폐를 둘러싸는 흉막, 드물게 복막·심막·고환막에 발생하는 드문 악성 종양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석면(Asbestos) 노출로, 노출 후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석면 섬유가 호흡기를 통해 폐와 흉막에 침착되면, 만성 염증과 세포 손상을 유발해 DNA 변이를 촉진하고 암세포 성장을 유도합니다.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나, 특정 종양 억제 유전자(BAP1) 변이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2. 악성 중피종의 진단 과정진단은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조기 발견이 어렵습니다. 흉부 X-ray와 CT를 통해 흉막 비후, 흉수(pleural effusion) 여부를 확인하고..